contrast coding(대비 코딩) 시리즈에서 다룰 예제 데이터는 아래와 같다.
F는 독립변인으로, F1과 F2라는 두 수준을 가지는 범주변인이다.
id는 참가자 번호를 나타낸다. 참가자가 열 명인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한 참가자가 한 조건에만 할당되었으므로, 참가자 간 설계임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DV는 종속변인이다. DV는 그냥 0에서 1 사이의 값을 무작위로 뽑은 연속변인이다.
이 데이터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M은 각 조건(수준)의 평균, SD는 표준편차, SE는 표준오차를 말한다.
GM은 grand mean의 약자로, 조건에 관계없이 전체 데이터의 평균을 말한다.
반응형
'통계 공부 > Linear Model' 카테고리의 다른 글
더미코딩: 두 수준을 갖는 예측 변수가 하나일 때 (0) | 2024.06.15 |
---|---|
contrast coding(대비코딩)-언제 사용할까? (1) | 2024.01.10 |
contrast coding(대비 코딩)-도입 (0) | 2024.0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