측정 척도-명명척도, 서열척도
이번 게시글에는 '명명척도'와 '서열척도'를 다루고자 한다(교과서의 2장 내용이다). ●측정 척도 저번 시간에 다룬 변인은 그 정의에 따라 '다양한 값'을 가지는데, 이 값은 무엇을 측정하는지,
psstat.tistory.com
저번 글에서 명명척도와 서열척도를 다룬 데 이어
이번 글에서는 간격척도와 비율척도를 다룰 것이다.
▶간격척도(=등간척도)
간격척도는 등간척도라고도 한다.
먼저 간격척도의 정의는 아래와 같다:
"대상들간의 숫자 간격이 같으면 차이가 같은 척도, 이 척도에서는 차이가 중요하다(p.23)"
지난 글에서 다룬 명명척도와 서열척도와는 달리
간격척도가 되면 이제 숫자들 간의 차이를 비교할 수 있게 된다.
그 이유는 정의에서와 같이 숫자의 간격이 같으면 차이가 같기 때문이다.
즉, 서열 척도에서는 1등과 2등, 10등과 11등이 한 등수 차이지만 실제 점수 차이는 같지 않을 수 있기 때문에
한 등수라는 간격이 같다고 해서 점수(숫자)의 차이가 같다고 할 수 없었다.
간격척도와 뒤에 다룰 비율척도의 차이점은 간격척도에는 절대영점이 없다는 것이다.
절대영점이 없기 때문에 간격척도에서는 숫자의 차이로 비율을 말할 수 없다.
▶비율척도(=등비척도)
비율척도는 등비척도라고도 한다.
비율척도의 정의는 아래와 같다:
"진정한 영점이 있는 척도, 이 척도에서는 비율이 의미가 있다(p.23)"
간격척도에서도 언급했지만,
비율척도와 간격척도의 차이는 절대영점이 있냐, 없냐이다.
간격척도는 절대영점이 없기 때문에 '간격의 차이'는 말할 수 있지만 비율은 말할 수 없다.
비율척도는 절대영점이 있기 때문에 '간격의 차이'는 물론이고 '비율'도 말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절대영점이 있는 거리의 경우,
0cm와 20cm의 차이와 20cm와 40cm의 차이는 같고(간격의 차이), 20cm는 40cm의 2배라고 말할 수 있다(비율).
●마무리
측정척도는 그냥 볼 때는 쉽게 이해하고 넘어갈 수 있지만
막상 시험을 치는 등 실제 상황에 적용하려 하면 헷갈리기 쉽다(특히, 간격척도와 비율척도...).
나도 아직 간격척도와 비율척도는 헷갈린다...
그래서 많은 예제를 생각하면서 실제 실험 변인들에 적용해보는 것을 추천한다!!
'통계 공부 > 기본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선표본 (0) | 2021.11.23 |
---|---|
실험 설계 관련 용어-전집과 표본 (0) | 2021.11.12 |
측정 척도-명명척도, 서열척도 (0) | 2021.11.05 |
실험 설계 관련 용어-변인 (0) | 2021.11.04 |
게시판 관련 (0) | 2021.1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