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까지 다룬 연구 설계는
독립변인이 참가자 내 변인 명망 하나이고, 종속변인은 선호도 평정치였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를 확장하여 새로운 독립변인을 추가할 경우,
무선효과의 구조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알아본다.
●2X2 혼합설계
이번에는 기존의 참가자 내 변인인 명망에 더하여,
참가자 간 변인인 성별을 추가한 연구 설계를 가정하자.
명망(높음 vs. 낮음)과 성별(여성 vs. 남성)이 모두 두 수준을 갖고,
한 변인은 참가자 내, 한 변인은 참가자 간 변인임으로 2X2 혼합설계가 된다.
이러한 실험 설계의 모형은 아래 식(3)과 같다.
빨간색 네모 상자는 무선효과 구조를 나타내는데,
독립변인이 참가자 내 변인 하나였던 기존 설계와 기존 설계에 참가자 간 변인이 추가된 새로운 설계에서
무선효과 구조가 달라지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 이유가 무엇일까?
힌트를 주자면, 저번 포스팅에서 item에 대한 무선효과를 추가하지 않은 이유와 같다.
이제 정답을 말하면,
성별이 참가자 간 변인이기 때문에 참가자에 대한 무선 기울기를 추가할 수 없기 때문이다.
왜 추가할 수 없느냐,
성별이라는 변인이 참가자에 내재되어있기 때문에 한 사람이 남자 조건과 여자 조건에 모두 반응할 수 없기 때문이다.
즉, 남자라는 조건에 할당된 사람은 여자라는 조건에서 어떻게 반응이 변화하는지 알 수 없다는 것이다.
●2X2 참가자 내 설계
이번에는 기존 변인인 명망에 더하여,
참가자 내 변인인 과목(과학 vs. 비과학)이 추가된 연구 설계를 떠올려보자.
명망과 과목이 모두 두 수준을 갖고,
두 변인 모두 참가자 내 변인임으로 2X2 참가자 내 설계가 된다.
이번 실험 설계의 모형은 아래 식(4)와 같다.
똑같이 두 수준을 갖는 독립변인을 추가했는데, 식(3)에 비해 식(4)에서는 무선효과 구조가 굉장히 복잡해졌다.
그 이유는 '과목'이라는 변인이 참가자 내 변인이 되면서
과목의 각 수준에 대하여 각 참가자 별로 여러 번의 반응을 얻게 되었고,
과목이라는 변인의 효과가 각 참가자마다 다를 것이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에
과목에 대한 무선 기울기를 추가하였기 때문이다.
또한 이 '과목'이라는 변인의 효과가 '명망'이라는 변인의 조건에 따라 달라질 가능성,
즉 두 변인의 상호작용 효과도 각 참가자마다 달라질 것이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상호작용 항까지 무선효과 구조에 추가되어 매우 복잡해진 구조가 완성된 것이다.
●정리
이러한 예에서 알 수 있듯, 실험 설계와 무선효과 구조는 매우 긴밀한 관계를 가지기 때문에
연구자는 자신의 실험 설계를 명확히 하고 분석 모형을 만들어야 한다.
실험 설계와 무선 기울기의 관계를 아래와 같이 정리하며, 이번 포스팅은 끝!
'통계 공부 > Linear Mixed Effects Model' 카테고리의 다른 글
Brauer & Curtin(2018) 논문: 한 셀 당 하나의 관찰치만 있는 경우 (0) | 2023.04.02 |
---|---|
Brauer & Curtin(2018) 논문: 다수준 모형으로의 확장 (0) | 2023.03.31 |
Brauer & Curtin(2018) 논문: 무선변인과 무선효과의 구분 (0) | 2023.03.29 |
Brauer & Curtin(2018) 논문: 무선 절편과 무선 기울기(2) (0) | 2023.03.28 |
Brauer & Curtin(2018) 논문: 무선 절편과 무선 기울기 (0) | 2023.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