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글에서는 무선표집과 무선할당을 다루고자 한다.
지난 글에서 표본은 전집을 대표하기 때문에
실험 결과를 일반화하고 싶다면 가능한 표본을 무작위로 선정(즉, 무선표본)하는 것이 좋다고 이야기했다.
그렇다면 어떻게 표본을 어떻게 무작위로 선정할까?
이에 대한 이야기가 무선표집과 무선할당이다.
▶무선표집
사실 무선표집이 무엇인지는 위에서 이미 이야기했다.
표집은 표본을 추출한다는 의미로, 무선표집은 무작위로 표본을 추출하는 것을 말한다.
만약 전집이 작다면, 전집에 속한 모든 사례들이 표본으로 뽑힐 확률을 같게 하기 위해
난수표를 이용하여 표본을 뽑는 방법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전집이 매우 크다면 모든 사례에게 숫자를 부여하는 것이 힘들기 때문에 해당 방법을 사용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따라서 전집이 큰 경우에는 결과를 일반화하는 데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무선할당
무선적인 방법으로 표본을 뽑는 것도 중요하지만,
뽑힌 참가자들을 각 조건에 무선으로 할당하는 것도 중요하다.
무선할당이 중요한 이유는 무선표집과 같다.
한 조건의 참가자들이 편향된 참가자들로 구성되어 편향적인 결과를 얻는 것을 막기 위함이다.
앞서 말한 난수표는 무선할당을 위한 방법도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참가자들에게 난수를 부여하고, 해당 숫자가 짝수면 A조건, 홀수면 B조건으로 할당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무선표집과 무선할당의 핵심은 우리의 표본이 편향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편향된 표본은 편향된 결과를 낳고, 편향된 결과를 통한 해석은 전집을 잘못 이해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따라서 무선표집과 무선할당을 통해 전집을 잘 대표할 수 있는 표본을 선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할 수 있다!
'통계 공부 > 기본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술통계와 추론통계 (0) | 2021.12.02 |
---|---|
모수치와 통계치 (0) | 2021.12.01 |
무선표본 (0) | 2021.11.23 |
실험 설계 관련 용어-전집과 표본 (0) | 2021.11.12 |
측정 척도-간격척도(=등간척도), 비율척도(=등비척도) (0) | 2021.1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