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분석 방법은 정말 많다.

이번 글에서는 이렇게 많은 분석방법 중 내가 어떤 분석법을 선택해야 하는지에 대한

가이드를 다룰 것이다.

 

살펴보기에 앞서 내가 이 책에서 제일 좋아하는 그림을 먼저 보자.

출처: 행동과학을 위한 통계학 9판(p. 맨 마지막 페이지)

이 그림은 오늘 다룰 내용과 책에서 소개하는 통계기법들을 개괄적으로 보여준다.

이 그림을 보면 내가 어떤 통계기법을 선택해야 하는지 대략적으로 감이 올 것이다.

 

▶자료유형

첫 번째 통계절차 선택 기준은 '자료 유형'이다.

분석하려는 자료가 언어와 같은 자료가 아니라면 대부분 수치형 자료일 것이다.

수치형 자료는 측정 자료(measurement data) 또는 양적 자료(quantitative data)

범주 자료(categorical data) 또는 빈도 자료(frequency data)로 구분할 수 있다.

 

각각이 무엇인지는 크게 설명이 필요하지 않을테니 자세히 다루지 않을테지만,

어떤 자료 유형인지에 따라 분석하는 방법이 달라지므로 내 데이터의 성격을 잘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차이 혹은 관계

내 데이터가 측정 자료일 경우 유념할 점은

연구 물음조건 간 데이터의 차이인지, 혹은 변인들의 관계인지에 따라 사용하는 통계기법이 달라진다는 것이다.

 

차이라 함은 예를 들면 1학년과 2학년의 전공 과목 점수의 차이와 같은 물음일 것이고,

변인들의 관계라 함은 일조량과 우울 수준과의 관계(일조량이 낮을수록 우울 수준이 높은지)와 같은 물음이 해당될 것이다.

 

▶집단/변인의 수 & 표본의 독립 혹은 의존

만약 연구물음이 차이를 알아보는 것이라면 비교하는 조건의 수(예, ANOVA vs. t-검증)

독립변인의 수(예, one-way ANOVA vs. two-way ANOVA), 종속변인의 수(예, ANOVA vs. MANOVA)에 따라

사용해야 하는 통계기법이 달라진다.

 

만약 연구 물음이 관계를 알아보는 것이라면 표본이 독립적인지 혹은 의존적인지(예, 상관 t-검증 vs. 두 집단 t-검증),

예측변인이 하나인지 둘 이상인지(예, 단순 회귀 vs. 중다회귀)에 따라 사용하는 통계기법이 달라진다.

 

 

이번 글에서는 통계기법을 선택하는 기준을 간략하게 다루었다.

글의 내용을 보고 결정나무 그림을 다시 본다면 아마 이해가 더 잘 될 것이라 생각한다.

각 통계기법을 공부했다면 아마 마음 속에 결정나무 그림이 자동으로 그려져서

내가 실험 설계를 어떻게 했을 때 어떻게 분석할 지 자연스럽게 떠오를 것이다!

 

 

반응형

'통계 공부 > 기본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술통계와 추론통계  (0) 2021.12.02
모수치와 통계치  (0) 2021.12.01
무선표집과 무선할당(random assignment)  (0) 2021.11.29
무선표본  (0) 2021.11.23
실험 설계 관련 용어-전집과 표본  (0) 2021.11.12

+ Recent posts